좋아서 찾는 학습 서비스,
홈런 중등팀이 고민한 것들
3. 사회 변화와 문화 다양성
3-1. 사회 변화로 나타난 일상생활의 모습
옛날 | ∙ 도시락을 가지고 다녔음. ∙ 교실에 난로가 있었음. ∙ 산수, 자연 등의 과목을 배웠음. ∙ 풍금과 같은 악기가 있었음. ∙ 교실바닥을 학생들이 직접 청소했음. ∙ 교실에 학생들이 많았음. |
오늘날 | ∙ 학교 급식이 있어서 도시락을 가지고 다니지 않음. ∙ 교실에 냉․난방 기계가 있음. ∙ 수학, 과학 등의 과목을 배움. ∙ 전자 피아노를 사용함. ∙ 청소기, 물걸레 등을 이용하여 청소함. ∙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음. |
저출산 | ∙ 뜻: 아이를 낳지 않거나 적게 낳아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는 현상 ∙ 원인: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결혼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등 |
고령화 | ∙ 뜻: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 ∙ 원인: 의학 기술의 발달, 생활 수준의 향상 등 |
3-2.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입는 옷 (의) |
추위를 막기 위해 털모자를 쓰고 털 옷을 입음. | 강한 햇볕을 피하 기 위해 온몸을 감싸는 긴 옷을 입음. |
먹는 음식 (식) |
우리나라는 벼농사 지 역으로 추석에 쌀로 만든 떡인 송편을 먹음. | 한 해 농사에 감사하는 추수 감사절에 칠면조 요리를 먹음. |
사는 집 ㈜ |
초원에서 가축을 키우며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게르가 발달함. | 더위를 피하기 위해 서 물 위에 수상 가 옥을 지어 생활함. |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 |
∙ 인사하는 방법: 우리나라 사람은 두 손을 모으고 고개를 숙여 인사하지만 외국 아이는 손을 흔들며 인사함. ∙ 식사하는 모습: 우리나라 사람은 숟가락과 젓 가락으로 음식을 먹지만 외국 사람들은 포크나 손으로 음식을 먹음. |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 |
∙ 온돌방에서 생활하고, 겨울에 먹을 김장을 담금. ∙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해 음식을 먹음. |
공통점 |
∙ 문화를 즐기며 사람들과 어울려서 살아가고 있음. ∙ 좋아하는 활동을 하며 살아가고 있음. |
차이점 |
∙ 사람마다 살아가는 방법이 다름. ∙ 각자 좋아하고 즐기는 활동의 종류 가 다양함. |
편견 | 나와 다르고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해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 |
차별 | 편견에 따라 대상을 구별하고 다르게 대우하는 것 |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