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부를 좋아하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 아이스크림 홈런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3학년 1학기 국어 7단원 ‘반갑다, 국어사전’을 함께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7단원, 반갑다, 국어사전
1. 국어사전에 대해 알기
◎ 국어사전 겉모습의 특징 ∙ 국어사전 앞표지에는 사전 이름이 있습니다. ∙ 국어사전 옆모습을 살펴보면 낱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글 자음 차례대로 두되, 색을 다르게 하거나 모양을 달리해 표시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국어사전 내용 알아보기
◎ 국어사전에 있는 약호나 기호의 쓰임새 ∙ 약호 : ‘본말’을 「본」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간단하고 알기 쉽게 나타낸 부호입니다. ∙ 기호: 발음 표시를 [ ] 로 나타내는 것처럼 어떤 뜻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나 부호를 말합니다. ➜ 국어사전에 나오는 약호나 기호의 쓰임새를 알면 낱말을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2. 국어사전에서 낱말을 찾는 방법 알기
∙ 한글 글자는 첫 자음자, 모음자, 받침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차례대로 낱말을 찾습니다.
◎ 국어사전이 필요한 까닭 알아보기 ∙ 낱말의 뜻을 모를 때 주변에 물어볼 사람이 없으면 국어사전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글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문장을 쓸 때 정확하게 썼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어사전에서 찾은 낱말 뜻 확인하기 ∙ 낱말의 뜻이 문장에 어울리는지 살펴봅니다. ∙ 여러 가지 뜻을 가진 낱말이면 앞뒤 문맥을 살펴보고 여러 가지 뜻 가운데에서 어떤 것이 문장에 어울리는지 알아봅니다.
3. 형태가 바뀌는 낱말을 국어사전에서 찾기
◎ 형태가 바뀌는 낱말과 바뀌지 않는 낱말 ∙ 형태가 바뀌는 낱말 : 잡다, 먹다, 작다, 웃다, 달리다, 넓다, 일어서다, 많다, 높다 - 움직임 을 나타내는 낱말: 잡다, 먹다, 웃다, 달리다, 일어서다 -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 작다, 넓다, 많다, 높다 ➜ 움직임을 나타내는 낱말과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은 상황에 따라 형태가 바뀝니다. ∙ 형태가 바뀌지 않는 낱말 : 동생, 도서관, 소금
◎ 형태가 바뀌는 낱말을 국어사전에서 찾기 ∙ 형태가 바뀌는 낱말에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 부분을 찾습니다. ∙ 형태가 바뀌지 않는 부분에 ‘- 다 ’를 붙여 기본형을 만듭니다. ∙ 낱말의 기본형을 국어사전에서 찾습니다.
◎ 형태가 바뀌는 낱말의 기본형 알기 ∙ 낱말의 기본형이란 상황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 낱말을 대표하는 낱말입니다. ∙ 낱말에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 부분에 ‘-다’ 를 붙여 만듭니다. ∙ 형태가 바뀌는 낱말의 기본형을 정하는 까닭은 형태가 바뀌는 낱말을 모두 국어사전에 실을 수 없어서 입니다.
◎ 국어사전을 활용하여 글을 읽으면 좋은 점 ∙ 낱말의 뜻을 국어사전에서 찾아 정확한 뜻을 알 수 있습니다. ∙ 비슷한말이나 그 낱말이 쓰인 예를 함께 찾아보면 낱말의 뜻을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글의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중심 생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지금까지 3학년 1학기 국어 7단원 ‘반갑다, 국어사전’을 함께 공부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3학년 1학기 국어 8단원 ‘의견이 있어요’로 찾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