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 찾는 학습 서비스,
홈런 중등팀이 고민한 것들
안녕하세요. 공부를 좋아하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 아이스크림 홈런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아이스크림 홈런과 함께 3학년 1학기 과학 0단원 과학자처럼 연구하기에 대해 학습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탐구란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의사소통 등 다양한 방법으로 궁금한 것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입니다.
(1) 관찰: 탐구 대상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입니다.
(2) 분류: 탐구 대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따라 분류 기준을 세워 무리 짓는 것입니다.
(3) 측정: 탐구 대상의 길이, 무게, 시간, 온도 등을 재는 것입니다.
(4) 예상: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미리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5) 추리: 관찰 결과, 경험 등을 바탕으로 탐구 대상의 보이지 않는 현재 상태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6) 의사소통: 다른 사람과 생각이 나 정보를 주고받는 것입니다.
2) 맥박 수를 측정하고 예상해봐요.
- 측정과 예상
(1) 과학자는 알맞은 도구를 사용해 탐구대상의 길이, 무게, 부피, 시간 등을 측정합니다.
(2) 과학자는 관찰하고 측정한 결과에서 규칙성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예상합니다.
- 맥박 수 측정하기
(1)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목 옆부분이나 손목 부위에 대고 가볍게 눌러, 맥박이 뛰는 곳을 찾습니다.
(2) 일정 시간 동안 맥박이 얼마나 뛰는지 세봅니다.
- 맥박 수 예상하기
(1) 3분 동안 맥박수 예상하기: 1분 동안 맥박이 72번 정도 뛰므로 3분 동안에는 약 216번 뛸 것입니다.
3) 과일의 맛을 추리하고 의사소통을 해보아요.
- 추리와 의사소통
(1) 과학자는 관찰 결과, 경험, 이미 알고 있는 것 등을 바탕으로 보이지 않는 현재 상태를 추리합니다.
(2) 관찰하고 생각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 다른 사람과 생각이 나 정보를 주고받으며 의사소통합니다. 의사소통할 때는 글이나 그림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 과일의 맛 추리하기
(1) 관찰한 내용: 과일의 속이 귤과 비슷한 모양이며, 과일의 겉모습이 멜론과 비슷한 색깔입니다.
(2) 추리한 내용: 귤 맛이 날 것이며, 멜론 맛이 날 것입니다.
(3) 나의 추리 결과: 과일의 속이 귤과 비슷한 모양이므로 귤 맛이 날 것 같습니다.
- 추리한 내용으로 의사소통하기
(1) 내가 추리한 내용과 친구의 추리 내용 이야기하기: 나는 관찰한 과일의 속 모양을 바탕으로 귤 맛이 날 것 같다고 추리했는데, 친구는 과일의 겉모습이 멜론과 비슷하므로 멜론 맛이 날 것이라고 추리했습니다.
지금까지 3학년 1학기 과학 0단원 재미있는 과학자처럼 연구하기에 대해 공부했는데요.
맥박수를 측정하며 예상하고 과일의 맛을 추리하고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탐구 활동을 하며 답을 찾는 과정에 대해 잘 정리해보고, 우리 모두 과학자처럼 연구하기에 대해 기억하며 공부해요!
무료체험 신청하기>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