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정보

재미있는 잡상식 | 요일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 아이스크림 홈런

안녕하세요. 공부를 좋아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아이스크림 홈런입니다.

아득한 과거, 사람들은 달의 모양 변화를 주기로 삼아 시간을 계산했습니다. 그러던 중, 더욱 정밀한 시간 측정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면서 7일 주기가 등장하게 됩니다.
흥미롭게도, 이 7이라는 숫자는 단순한 우연이 아닌, 태양계의 신비로운 비밀과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고대 로마, 신들의 이름을 빌린 요일
7일 주기를 처음 도입한 곳은 바로 고대 로마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태양계의 7개 행성을 관찰하며 각 날짜에 신들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일요일: 태양신 헬리오스의 이름을 따서 'Sunday'가 되었죠.
월요일: 달의 여신 셀레네를 기리는 'Monday'입니다.
화요일: 전쟁의 신 티르를 뜻하는 'Tuesday'.
수요일: 신들의 아버지 오딘을 모신 'Wednesday'.
목요일: 벼락의 신 토르의 이름에서 유래한 'Thursday'.
금요일: 사랑의 여신 프리야에 유래해 'Friday'.
토요일: 농업의 신 사투르누스를 뜻하는 'Saturday'입니다.


동양에서 만난 서양 신들 : 음양오행과의 만남
서양의 요일 명칭이 동양으로 전파되면서 독특한 변화를 겪게 됩니다.
동양에서는 음양오행의 개념을 바탕으로 각 요일에 음양오행의 명칭이 붙게 된 것이죠.



일제 강점기, '월화수목금토'의 등장
조선시대까지는 요일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일제에 의해 강제적으로 도입되면서, 우리는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됩니다.



요일 명칭, 그 너머로
단순히 일정을 구분하는 도구 이상의 의미를 가진 요일 명칭. 서양 신화와 동양 철학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이 아름다운 이름들은 우리에게 시간의 흐름을 느끼게 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참고자료: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19071908233241538
https://1stopkorea.co.kr/%EC%9A%94%EC%9D%BC-%EC%9D%B4%EB%A6%84-%EC%98%81%EC%96%B4-%EC%9C%A0%EB%9E%98/



요일의 기원에 대해서 함께 알아봤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아이스크림 홈런이었습니다.



초등 공부는 역시 아이스크림 홈런!

홈런 초등 무료체험 하기>
홈런 초등 유료학습 하기>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