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 찾는 학습 서비스,
홈런 중등팀이 고민한 것들
윗마을 양반 | 박 노인을 ‘바우’ 라고 불러 박 노인은 기분이 나빠 고기를 조금 주었을 것이다. |
아랫마을 양반 | 박 노인을 ‘박 서방’이라고 불러 박 노인은 자신을 더 존중해 주는 느낌이 들어 고기를 많이 주었을 것이다. |
영철 | 큰 소리로 듣기 싫은 별명을 불러 민수의 기분이 나빴을 것이다. |
채은 | 이름을 부르며 반갑게 인사하여 민수의 기분이 좋았을 것이다. |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
∙ 상대를 바라보며 말합니다. ∙ 고운 말, 바른 말을 씁니다. ∙ 시간, 장소에 맞게 말합니다. ∙ 듣는 사람의 기분을 고려하며 말 합니다. |
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 때 |
∙ 다른 사람이 말할 때 끼어들지 않고,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끝까지 듣습니다. ∙ 적절히 반응하며 듣습니다 |
![]() |
![]() |
어른 앞에서는 ‘제가 ’로 자신을 낮추어 표현해야 합니다. | 웃어른께 “수고하셨어요.”라고 말씀드리는 것은 예절에 어긋납니다. |
장소 | 예절을 지키지 않은 부분 |
현관 | 신유 어머니께 인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집 안으로 뛰어들어 갔습니다. |
식탁 | 음식을 준비해 주셔서 고맙다는 말 을 하지 않았습니다. |
신유 방 | 친구 앞에서 귓속말을 했습니다. |
➔ 예의 바른 말로 고쳐 쓰기 | “미안해. 네 말이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게.” |
➔ 예의 바른 말로 고쳐 쓰기 | “기분을 상하게 해서 미안해. 이제 그만할 게.” |
➔ 예의 바른 말로 고쳐 쓰기 | “그래, 다른 친구부터 하 고 나서 할게.” |
장면 | 예절에 어긋난 부분 |
![]() |
말하는데 끼어들었 습니다. |
![]() |
- 말할 기회를 얻지 않고 말했습니다. - 높임말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 |
다른 사람의 의견을 잘 듣지 않았습니다 |
◎ 예절을 지키며 온라인 대화를 하는 방법
∙ 바른말을 사용해야 합니다.
∙ 상대가 보이지 않더라도 대화 전에 인사를 하고 끝날 때에도 인사를 합니다.
∙ 얼굴이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함부로 말하지 않습니다.
∙ 상대를 존중하고 예의를 지킵니다.
∙ 줄임 말과 그림말을 지나치게 쓰지 않습니다.
◎ 지혜가 친구들과 나눈 온라인 대화
∙ 친구들이 사용한 대화명 살펴보기
영철이가 대화명을 ‘@.@’로 썼기 때문에 지혜가 영철이를 못 알아보았습니다.
대화명은 자신을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합니다.
∙ 친구들이 쓴 줄임 말 알아보기
‘ㅇㅈ’, ‘ㅋㅋㅋ’와 같은 줄 임 말 을 사용하면 무슨 뜻인지 몰라서 오해가 생기거나 대화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그림말을 사용하면 좋은 점과 나쁜 점 알기
좋은 점: 기분을 더 잘 표현해 줄 수 있습니다.
나쁜 점: 너무 많이 사용하면 장난스러운 대화가 될 수 있습니다.
◎ 그림 가, 나에 나타난 문제점
|
|
뜻을 모르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
자신이 할 말만 하고 대화방에서 나가 버렸습니다. |
◎ 대화 예절을 표어로 만드는 방법
∙ 대화할 때 지켜야 할 예절을 여러 방법으로 알아봅니다.
공익 광고 영상 |
책 |
인터넷 |
|
|
|
∙ 대화할 때 지켜야 할 예절을 알아보고 친구 들과 이야기해 봅니다.
예) 공익 광고를 보고 나니 얼굴을 보며 할 수 없는 말은 인터넷에서도 하지 말아야 한 다는 것을 알겠어.
∙ 조사한 것을 정리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대화 예절과 관련 있는 표어를 만들어 봅니다.
예) 내가 한 거친 말 내게 올 거친 말/ 자나 깨나 예절 바른 말/ 함께 지킨 대화 예절 우리 모두 좋은 기분
지금까지 4학년 2학기 국어 3단원 ‘바르고 공손하게’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홈런과 함께 4학년 2학기 국어 3단원 유용하셨나요?
다음시간에는 더욱 유용하고 재미있는 공부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공부를 좋아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아이스크림 홈런이었습니다!
초등 공부는 역시 아이스크림 홈런!
홈런 초등 무료체험 하기>
홈런 초등 유료학습 하기>
추천 콘텐츠